Pâtisserie décidé
Usage : Cafe, Bakery
Floor area : 61.7 sqm
Location : Samcheong-dong, Seoul
Year : Oct, 22
Object : OBJECT LEUCI
Photo : Cho Donghyun
‘décidé (데시데)’는 ‘분명한, 뚜렷하고 명확한’ 의 뜻을 갖는 불어로, 프랑스 디저트류를 판매하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북촌 한옥마을 골목 사이에 위치한 ‘décidé (데시데)’가 주변 한옥이 주는 고즈넉한 정서를 닮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이를 모던하게 재해석하여 표현하고자 했다.
![]()
Interni & Decor / JUNE. 2023
Usage : Cafe, Bakery
Floor area : 61.7 sqm
Location : Samcheong-dong, Seoul
Year : Oct, 22
Object : OBJECT LEUCI
Photo : Cho Donghyun
‘décidé (데시데)’는 ‘분명한, 뚜렷하고 명확한’ 의 뜻을 갖는 불어로, 프랑스 디저트류를 판매하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북촌 한옥마을 골목 사이에 위치한 ‘décidé (데시데)’가 주변 한옥이 주는 고즈넉한 정서를 닮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이를 모던하게 재해석하여 표현하고자 했다.
한지 위 거침없이 그어진 먹 한 획이 주는 뚜렷함에서 얻은 영감은 정갈한 디자인 속 비정형적인 요소로 연결되었다. 우선 파사드에선 서까래와 내외담 같은 한옥 구조의 요소를 모던하게 재조립한 형태를 차용하여 매스감 있는 형태를 보여주고 싶었다. 대문처럼 마중 나온 덩어리를 통해 들어가면 출입구 유리도어에는 장인이 한땀한땀 두들겨 만든 금속 소재가 걸려 있다.
처음 마주한 오래된 현장은 세월의 흔적을 지니고 있었다. 부수고 짓기를 반복한 벽과 바닥, 낮은 천장, 위층에서부터 내려오는 용도 모를 오래된 배관들이 있었다. 공간 한가운데로 내려온, 철거가 불가한 배관을 감싸 이를 기둥으로 만들고, 이 경계를 시작으로 내부 배치가 시작되어 좌석과 바, 주방을 나누었다. 자칫 답답하고 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 공간에 어떻게 양기를 들일 수 있을지 고민했다.
창문으로 유입되는 빛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자연광을 인공적으로 표현해 공간 곳곳에 내리쬐는 빛을 만들어주고 천장 너머에 무엇이 있어 보이도록 했다. 그렇게 단순한 배치를 통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비정형적인것으로 무드에 포인트를 준다.
그렇게 의도한 공간 내부의 분위기는 갤러리의 느낌이 났으면 했다. 무게감 있는 바와 스툴 매스들이 정제된 흐름으로 전반적인 공간을 구성하며, 이 낮고 무거운 덩어리들 사이로 우뚝 상승하는 대비적인 조형물을 통해 무거움을 중화시켰다. 마치 자연 속에서 무심하게 자라나는 나뭇가지처럼 하늘을 향해 뻗은 형태는 은은히 반사되는 천장 면을 통해 수직적으로 확장된 공간감을 선사한다.
오브제가 관통된 천장에서는 하늘의 자연광이 떨어지듯이 빛이 전반적으로 낙하하여 시선을 뒤로 보내게 하여, 크고 높지 않은 공간 안에서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선명한 것은 흐릿한 것과 함께 있어야 더욱 빛을 발하는 것처럼 고요한 흐림 속 뚜렷한 선과 무게들은 정제된 배경과 함께 어우러진다. 그렇게 인공적인 주변의 경계가 흐려지고, 상승하는 자연적인 선들과 단일의 화합을 이룬다.


Interni & Decor / JUNE. 2023
























